"서민은 절대 부자가 될 수 없어"








이상하다 





옛날 조선시대 때에야





노비가 양반이 될 수 없었다지만, 








현대에는 누가 정해놓은 것도 아닌데





가난한 집 자식은 가난하게 살아가고 





부잣집 자식은 부자로 살아간다. 











'이 넘을 수 없는 장벽'





요즘 말로 넘사벽











누가 이런 장벽을 만든 것일까? 





왜 이런 장벽이 생긴 것일까? 














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사람이 





부자가 될 수 없는 진짜 이유, 











나는 그것을 





'개인의 의지'와 '교육'에 있다고 본다. 











개인의 의지, 





일이 뜻대로 





잘 풀리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 





대체로 도전정신이 없다. 











"취업이 안돼"





"불황이야"





"그걸 내가 어떻게 해..."














코끼리를 새끼 때부터 





밧줄로 묶어 놓으면 








그 즉시에는 





그 밧줄을 끊으려고 





발버둥치다가, 








자신의 힘으로는 





그 밧줄을 끊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 





포기하게 된다. 











그 이후, 





다 자란 코끼리는 





밧줄을 끊을만한 





충분한 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 





그 밧줄을 끊을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. 











이처럼 





무한한 능력을 가진 존재라도 





스스로를 





틀 안에 가두어버리면 





딱 거기까지인 존재가 되는 것이다. 














지금까지 많은 이들이 





안 된다는 말을 해왔지만 





누군가는 말한다. 











"취업이 안 된다고? 





배부른 소리야. 





나 아는 업체들만 해도 





직원 못 구해서 안달인데, 





취업 안된다는 말은 





네가 원하는 직장을 





못 구한다는 말이겠지"








"불황이야? 





그럼 지금도 





몇억, 몇십억씩 버는 사람들은 뭔데?"








"그걸 내가 어떻게 해? 





그러니까 네가 안 되는 거란다"














교육도 마찬가지다. 





'가난한 집에서 태어나서'





'주변에 훌륭한 사람이 없어서' 





'교육받을 돈이 없어서'








다 이유가 되지 못하는 말들이다. 











나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고 





주변에 훌륭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, 





책을 가까이했고 





훌륭한 사람들을 직접 찾아갔다. 











시골의 편안한 집보다 





나에게 기회를 주는 





서울의 고시원이 더 낫다. 








결국은 의지의 문제다. 











누군가 





"교육받을 돈이 없어요"라고 불평할 때, 








"알바라도 할까?"





"대출이라도 받을까?"








방법을 고민하고 





도전한 사람들이 





지금의 자수성가한 





부자들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 

























Post a Comment

다음 이전

무료로 창업 안내 받는 법[신청하기]

통장인증, 단 8개월 안에 월 순수익 1천만 원 소득자 10명 배출한 교육기관에서 요즘 뜨는 창업 아이템을 무료로 추천 받을 수 있습니다. 


한국부자연구소[단톡방 참여]

하루 30분 투자로 부자가 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. 지금 단톡방에 참여하시면 매주 무료 특강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.